thumbnail
마케팅 인사이트

[SEO] 검색 패러다임의 변화: SEO에서 GEO로

2025. 04. 29

👀콘텐츠 한 눈에 보기

1. SEO란?
2. 검색도 AI로! 제로 클릭 시대의 도래
3. 제로 클릭 시대에 따른 검색엔진의 변화


💻SEO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즉 검색엔진 최적화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에 입력하는 키워드에 따라 자사 웹사이트가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도록 콘텐츠를 최적화하는 전략입니다.

SEO를 ‘검색 광고 최적화’와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검색 엔진 최적화는 자연(organic) 검색 결과에서 사이트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특정 키워드 검색 결과에 사이트를 노출시키는 검색 광고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SERP, Search Engine Result Page)를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스폰서’라고 표시되어 가장 상단에 노출되는 결과는 광고 검색 결과이고, 하단의 검색 결과들이 자연 검색 결과입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는 자연 검색 결과에서 상단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잠재 고객이 직접 웹사이트를 찾아오도록 유도하고 양질의 트래픽을 얻을 수 있습니다.

SEO는 브랜드 인지도 향상, 웹사이트 유입, 전환률 개선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많은 마케터들에게는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을 공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는데요.

알고리즘에게 선택받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키워드 분석, 메타 태그 최적화, 링크 구축, 고품질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며 노력했습니다.

구글과 네이버의 검색 엔진 알고리즘과 전략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다면!
➡️ 쿠키리스 시대의 마케팅 전략_SEO 전략 찾아보기


💡검색도 AI로! 제로 클릭 시대의 도래

하지만 최근에는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검색 환경도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AI 검색의 보편화로 인한 대표적인 변화는 ‘제로 클릭(Zero-Click)’입니다.

제로 클릭은 말 그대로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특정 웹사이트를 클릭하지 않고도 바로 답을 얻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날씨”를 검색했을 때 웹사이트를 클릭하지 않고 바로 화면 상단에서 날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AI 검색 결과는 사용자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마케터에게는 트래픽 감소라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사용자가 클릭하지 않고도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SEO를 통해 검색 결과 페이지 상단에 웹사이트가 노출되더라도 방문을 유도하기 어려워진 것입니다.

실제로 Bain & Company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 80% 정도가 검색 시 40% 이상을 AI 검색 결과에 의존한다고 하는데요. 이는 웹사이트로의 유입을 15~25% 감소시켰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SEO의 다음 주자로 등장한 것이 바로 GEO입니다.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는 생성형 AI 엔진 최적화를 의미하는데요. 사용자가 AI 검색 결과에 점점 의존하니, 이에 발맞춰 AI 검색 결과에 자사 웹사이트가 노출되도록 최적화하는 전략입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AI가 자사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인용하도록 하는 것이죠. AI 검색 결과는 광고 검색 결과보다도 상위에 노출되기 때문에, 인용된다면 사용자의 클릭을 얻을 확률도 높아집니다.


🪄검색 엔진별 AI 검색 시스템

검색 엔진은 AI 기반 생성형 검색 시스템을 발전시키며 이런 트렌드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검색 엔진인 구글과 네이버의 AI 검색 시스템을 살펴보겠습니다.

1) 구글

AI 개요(AI Overview)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파악해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요약해주는 기능으로, 검색 결과 상단에 요약된 핵심 내용과 함께 출처를 보여줍니다.

AI 모드(도입 예정)
AI 모드는 AI 오버뷰를 확장한 기능으로, 추론이나 비교분석 등이 필요한 복합한 질문에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대화하듯 질문을 이어가며 후속 질문을 통해 심층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구글)

2) 네이버

큐:(Cue:)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요약 및 정리해주는 생성형 검색 도구입니다. 질문 의도를 파악해 검색 계획을 세우고 답변을 제공합니다.

(이미지=네이버)
AI 브리핑(도입 예정)
사용자가 검색한 내용에 대해 답변을 요약하고 출처를 함께 보여주는 시스템입니다. 정확한 답을 원하는 질문에 답변하는 공식형/멀티출처형과 숏폼형 검색 콘텐츠인 숏텐츠 서비스에서 답변을 제공하는 숏텐츠형, 여행지 관련 질문에 대해 즐길거리, 맛집, 숙소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로컬여행형이 있습니다.

(이미지=네이버)


검색 엔진은 지속적으로 생성형 AI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검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SEO도 여전히 중요하지만, 앞으로 GEO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AI 검색 알고리즘에 최적화하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제로 클릭 시대의 GEO 전략 더 알아보기


-----------------------------------------

🖋️ LEVER Xpert CSM 이소연

📧 csm@madup.com

마케팅트렌드
마케팅인사이트
SEO전략
검색엔진알고리즘
SEO마케팅
검색엔진최적화
자연검색
AI검색
제로클릭
구글AI검색
네이버AI검색
AI오버뷰
AI모드
네이버큐
AI브리핑
디지털마케팅트렌드
GEO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