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Lever Xpert 교육

소재 분석 활용하기 (1): 소재 인사이트

2025. 04. 16

#소재분석 기능은 디지털 광고대행사, 인하우스 마케터 등 #LEVER Xpert의 고객들 모두가 좋아하는 기능입니다. 마케터들의 "소재별로 광고 성과를 정리해서 보고 싶다"는 기본적이지만 어려운 니즈를 충족시켜줬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소재 센터의 기본적인 활용 방법과 동작 방식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LEVER Xpert 분석 범위 선택 화면

소재 분석 페이지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에 위치한 '새 분석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분석 범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워크스페이스에 등록된 광고 계정 중 소재 센터가 지원하고 있는 네이버, 카카오, 메타, 구글, 틱톡의 광고 계정 목록이 나타나고, 아래 이미지처럼 광고 계정 뿐만 아니라 캠페인/광고그룹/광고 레벨에서 원하는 항목을 제외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소재 모드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요, 소재 모드는 동일한 이미지라 판단되는 소재끼리 묶어 하나의 소재 묶음으로 묶인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가 보기에는 크기와 이미지가 완전히 동일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캠페인이나 광고그룹에 들어 있는 경우 다른 광고 데이터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합쳐주는 별도 작업이 필요합니다. 소재 모드를 적용하면 이러한 데이터 취합 작업이 불필요해지므로 소재 단위로 분석이 더 용이해지죠. 반대로 소재 모드를 해제하면 동일 소재로 묶여있는 소재 묶음을 풀어 광고 단위로 표시됩니다.

분석 범위를 정하고 소재 모드 적용 여부를 결정한 후 분석 생성 버튼을 누르면 기본 템플릿이 생성됩니다.

소재 인사이트 탭에서는 고효율/저효율 소재, 급상승/급하락 소재, 영향이 큰 소재, Top 5 소재, 일자별 성과 추이 카드를 제공합니다.

고효율/저효율 소재

고효율/저효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지표를 설정합니다. 기준 지표가 1개인 경우 기간 내 운영된 소재들을 성과가 높은 순서대로 노출합니다. 기준 지표가 2개 이상인 경우 상위 50% 교집합으로 후보군을 도출하고, 지표를 선택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지정 및 계산하여 성과가 높은 순서대로 노출합니다. 이 때 기준 지표는 최대 3개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부가지표는 고효율과 저효율 순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용'처럼 마케터가 참고 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지표입니다.

각 카드는 매체와 광고 계정, 레이블, 수식 필터 등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우는 매체 필터와 수식 필터입니다. 매체마다 광고 상품이 다르기 때문에 고효율/저효율 소재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아 매체 필터 활용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또한 광고비를 적게 사용하는 경우, 효율 지표가 이상값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수식 필터를 통해 광고비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상승/급하락 소재

급상승/급하락 카드는 광고 성과의 상승률과 하락률이 큰 소재들을 노출합니다. 이때 상승률과 하락률은 마지막 시점과 설정된 비교기간 사이의 변화율로 계산합니다.

영향이 큰 소재

영향이 큰 소재는 기간 내 전체 성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재들을 표시합니다. 전체 성과에서 소재의 성과 비중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지표이므로 volume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상위 위치 계산식 = (특정 소재의 성과) / (필터링 된 전체 소재의 총/평균 성과) x 100


피봇 테이블

상단에 위치한 인사이트 편집 버튼을 눌러 동일한 카드 유형을 추가할 수도 있지만, 피봇 테이블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성과 지표를 중심으로 컬럼을 설정하여 캠페인/광고그룹/광고 성과를 한 테이블 안에서 볼 수 있고, 서식을 통해 컬럼별 서식 설정도 가능합니다.

내보내기 버튼을 눌러 피벗 테이블을 다양한 포맷으로 뽑아낼 수 있으므로, Xpert 밖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에 따라 소재 인사이트를 활용하는 형태는 다양합니다. 기간과 다양한 필터링을 적용하여 복수의 소재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소재 리포트별로 분석 각도를 구분하거나 소재 인사이트 탭 내에서 여러 개의 카드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 때 각 페이지별 설정은 '보기 설정'을 통해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함께 일하는 마케터나 디자이너에게 주요 분석 결과를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소재 인사이트는 winning creative를 발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합니다. 이를 토대로 마케터들은 다음 기간에 어떤 소재들에 더 예산을 부여하고, 어떤 소재들을 예산을 줄일지 판단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재를 분석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더 빠르게 winning creative를 발굴할 수 있습니다.

소재 센터
브랜드
에이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