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화장품 수출 현황 및 추이 대시보드 배포 (10월 업데이트)
현재 화장품 브랜드들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A)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공략하여 다른 국가로 자연스럽게 확장될 수 있도록 유통만 열어두는 한편, 한국 화장품 브랜드 간 경쟁도 워낙 심화됨에 따라 B) 미국이 아닌 타겟 국가를 선정하고 해당 국가에 모든 마케팅 전략을 커스터마이징 하는 브랜드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든 브랜드의 리소스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각 국가별 수출 현황을 추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 국가별 수출 추이는 시장 관점에서 얼마나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또 얼마나 빠르게 매출을 늘릴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레버 엑스퍼트 팀 역시 많은 화장품 고객사분들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국가별 수출 트렌드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요, 고객사 분들이 지속적으로 주시는 관심과 질문에 따라 언제든지 방문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를 구축하였습니다.

해당 대시보드는 두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페이지는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 추이를 보여줍니다.
월별 수출 추이를 보게 되면 어느 정도 파동은 있습니다만 점진적으로 우상향 하고 있는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수출 추이를 보면 2024년 85.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2021년의 전고점을 돌파하였고, 2025년은 10월까지 77.5억 달러를 수출하여 큰 이변이 없는 한 10% 이상의 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별 국가를 타겟하는 관점에서 중요한 건 2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가별 수출 현황입니다.
2025년 10월 누적 기준으로 상위 14개 국가 비중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각 국가를 클릭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국가별 수치 및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지역별 순위에서는 6위, 비중으로 보면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도별 수출 금액 추이를 보게되면 2023년 급성장하여 2024년에는 성장이 잠시 둔화되었으나, 2025년 10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18% 성장하여 이미 2024년 전체에 준하는 수출 금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존 1위 수출국이었던 중국은 2025년 미국에 그 자리를 내주었는데요, 고점을 기록했던 2021년 이후 지속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며 2025년에도 하락 추이는 여전해 보입니다.

지난 글에서 폴란드향 수출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는데요, 아랍에미리트 연합(UAE) 역시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25년 10월까지의 수출 금액만으로 2024년 전체 수출 금액을 상회하고 있고, 동기간을 비교한다면 60%에 달하는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엑스퍼트 팀은 지속적으로 관세청 수출입 무역 통계 데이터를 추적하여, 고객사들의 글로벌 확장 전략에 활용하실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