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마케팅 인사이트

광고 소재 분석, 어떻게 해요? (3): 경쟁사 소재 분석하기

2025. 09. 12

페이스북과 구글은 각각 광고 라이브러리(https://www.facebook.com/ads/library), 구글 투명성 센터(https://adstransparency.google.com/) 등 경쟁사나 선도사 브랜드의 광고 현황을 알아볼 수 있는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틱톡도 Tiktok Ads Library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만, 아직은 유럽 국가 대상으로만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은 고객사에서 이 기능들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브랜드를 하나씩 검색하고, 소재들을 적재하여 분석하는 편의성이 낮은 부분도 있지만, 크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말씀 주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타 브랜드 소재 분석이 필요한 이유

외부에서 보는 한 회사의 퍼포먼스 마케팅 소재는 구체적인 광고 성과는 알 수 없지만, 단순히 소재에 대한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마케팅 영역, 나아가 제품/서비스 전략 영역까지도 시사점을 줍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광고 라이브러리를 다음의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 소재가 운영되는 플랫폼
- 광고 활성화 여부 및 소재 개수
- 게재 시점
- 소재와 함께 고객에게 노출되는 텍스트
- 광고 계정
- 소재 이미지/영상
- 파트너십 여부 및 대상

비록 구체적인 광고 성과는 알 수 없지만 게재 중인 광고 소재의 개수, 게재 시점 정보를 토대로 고효율 소재를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광고 소재를 지속적으로, 또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는 브랜드가 특정 광고 소재나 소재 템플릿(유사한 포맷의 이미지나 영상)을 운영하고 있다면 해당 소재는 효율이 우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타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광고주일수록 유의미한 기준이 됩니다.

미국 시장에서 K뷰티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는 메디큐브(Medicube)는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 Top 100 목록에 9월 12일 기준 모공 패드(#6), 오버나이트 페이셜 마스크(#19), PDRN 마스크(#73), 페이셜 수분 크림(#85), 콜라겐 젤리 크림(#86) 등 5개 상품을 올려두고 있습니다.

메디큐브는 메타를 통해 지속적인 퍼포먼스 마케팅을 수행하고 있는데, 몇 가지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파트너십 광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2. 다양한 인종, 다수 인플루언서들을 통해 파트너십 광고를 수행하고 있다.
3. 이미지는 거의 활용하지 않고, 영상 광고의 활용 비중이 압도적이다.
4. 인플루언서가 직접 제품을 사용하는 1분 전후의 영상이다.
5. 특정 광고 제품에 집중되어 있지 않다.

이 외에도 소재를 올리는 빈도나 종류도 확인할 수 있는데, 페이스북 광고 라이브러리를 통해 확인한 8월 소재 종류는 160개가 넘습니다. 광고 라이브러리에서 모든 소재를 확인할 수 없음에도 말이죠!

만약 미국에서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혹은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브랜드라면 메디큐브의 미국 시장 내 퍼포먼스 마케팅에 대한 학습은 필수적이겠죠.

타 브랜드 소재 분석할 때 집중해야 할 점

결국 소재 분석을 통해 다음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디지털 마케팅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디지털 마케팅 소재에 주로 사용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는 무엇인가?
소재에 드러나는 강 상품과 서비스의 소구점은 무엇인가?

대량의 소재들을 보게 되면 해당 브랜드가 인지/유입/구매 등 어떤 고객 여정(customer journey)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 퍼포먼스 마케팅에 영상이나 이미지를 어느 정도 비율로 운영하고 있는지, 파트너십 광고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경쟁 관계에 있는 브랜드라면, 해당 브랜드와 비교했을 때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상품/서비스의 차이, 소구점 등을 차별화하여 우리의 퍼포먼스 마케팅 전략을 운영해야 합니다. 특히 디지털 광고 소재의 경우 가격이나 할인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임을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KREAM) 역시 페이스북 광고라이브러리를 통해 보게 되면 메타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위 이미지처럼 화면을 크게는 2개 컬럼, 4분할로 구성하여 왼쪽 혹은 상단에 모델컷을 배치하고, 우측 혹은 하단에 제품컷을 배치하여 모델컷과 제품컷을 혼합한 형태의 소재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브랜드가 만약 화장품 브랜드라면, 좌측에는 제품의 제형이나 발림성을 강조하고, 우측에는 다양한 제품을 배치하는 형태로 벤치마킹 해볼 수 있죠.

이 외에도 크림이 아디다스, 예스아이씨, 슈프림, 살로몬 등의 브랜드 제품을 주로 광고 소재에 활용하고 있다는 점은 다른 패션 플랫폼 입장에서 인사이트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각 소재에 대한 조사 결과들을 지속적으로 모으게 되면, 각 브랜드에서 각 광고 매체가 수행하는 역할이나 중요한 브랜드나 가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결국 우리에게 더 적합한 광고 채널과 상품, 소재, 소구점을 찾아가는 것이고, 이러한 학습은 우리의 퍼포먼스 광고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료입니다.

소재 센터
광고소재분석
소재분석
소재분석솔루션
소재분석방법
메디큐브
K뷰티
화장품소재
패션소재